- 백송
- Lace-bark pine겨울이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장 먼저 새하얀 눈을 떠올릴 것이다. 그리고 크리스마스에는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꿈꾸곤 한다. 여러모로 겨울의 색상은 흰색이라고 인식되어 있다...
이선아/계간 조경생태시공/2011년12월64호
- 포천 아트밸리
- 위치_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산40-1번지 일원면적_142,000㎡1차사업기간_2006. 2~2007. 12발주_포천시청설계_유신코퍼레이션시공_유호산업개발최근 유수지를 비롯해 쓰레기 매립장, 소각장, 하수 종..
나창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10월50호
- [문화의 시대, 조경을 넘어] 관심을 가져야 할 우리..
- '조경’은 말 그대로 ‘풍경을 만드는 일’이다. 필자는 도시든 시골이든 상관없이 풍경이라는 이름하에 눈에 보이는 것들의 질적인 집합 미를 추구하는 것을 조경이라고 생각한다. 한쪽에 치우친 왜곡..
강동진/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9월49호
- 잘못된 잠복소 설치관행
- 관행적으로 설치하는 잠복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 잠복소잠복소란 월동을 위해 해충이 나무에서 땅밑 은신처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해충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짚이나 새끼 등으로 나무 기둥쯤에 따뜻한 ..
김천기/계간 조경생태시공/2005년11월17호
- 모래땅의 사계, 자연과 인간의 경이로운 ..|조경가의 서재
- 알도 레오폴드Aldo Leopold의 책 『모래땅의 사계A Sand County Almanac』는 옮긴이들이 책 제목 앞에 슬쩍 얹어놓은 문장처럼 한마디로 어느 “자연주의자가 들려주는 자연과 인간의 경이로운 대화”..
진양교/월간 환경과조경/2014년2월310호
- 컴퓨터 조경설계 ; 식재설계를 위한 GIS적용 연구
- GIS적용의 시도조경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생태학적인 가시적 형태와 지형모델구성에 의한 주변환경과의 조화이다. 이를 위하여 전통적으로는 모델링에 의한 단지평가, 적응성분석, 매력적인 조화를 우선적..
연상호 /월간 환경과조경/1993년3월59호
- 양재천 업그레이드사업
- 위치 _ 영동1교부터 영동2교까지 1km 구간(양재천 총15.6km)규모 _ 양안 2.2km(면적 61,400㎡)발주 _ 서초구청 공원녹지과 |설계 _ (주)천마이앤씨 시공 _ (주)대림공영, 시경산업(주), (주)..
박광윤/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9월49호
- 그린텍 경계석
-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가 쾌적한 도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를 새로이 디자인하고 있다. 도시디자인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의 중요성도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기존의 ..
편집부/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12월52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5 : 춤추는 창문의 ..
- 에른스트 크라머가 “시인의 정원”을 조성한 바로 그 이듬해인 1958년, 오스트리아 제카우라는 곳의 한 수도원에서 “건축의 합리성에 대한 곰팡이 성명서”를 발표한 기인이 한 사람 있었다. 프리덴슈..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2월310호
- 판교분기점 계단식 옹벽의 경관리뉴얼
- 공사개요경관옹벽 474㎡, 메탈콘 617㎡, 식생535본공사금액1억9천2백만원위치서울외곽순환선 판교기점 0.8km(판교방향),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대상시설계단식옹벽준공일자2011.12.12도로시설의 공공..
송정석/계간 조경생태시공/2012년3월65호
- 막시마파크
- 막시마파크, 세 개의 에지를 만들다과거 레이스허 레인 파크Leidsche Rijn Park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막시마파크의 설계안은 1997년 개최된 디자인 공모전의 결과물이다. 위트레흐트 서부..
WEST8/월간 환경과조경/2014년1월309호
- 자연생태복원공법(JSB)
- 자연생태복원공법(JSB)은 여러가지 원인에의하여 훼손된 비탈면부분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녹화 공법이며, 주변토양과 조화된 자연상태로 복구하는 친환경적이며 생태적, 경관적으로도 조화된 공법이다...
(주)토림산업,(주)JSB건설/계간 조경생태시공/2007년11월39호
- 거대 공원, 셸비 팜스 공모전
- Master Plan Design Competition for Shelby Farms Park
시작하며
설계의 ‘이즘(ism)’이란 한 개념의 죽음을 고하는 종결적 낙인이다.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고착화될 때 그 생명력을 상실하여 박..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09년3월251호
- 기억과 재현, 역사적 층위에 대한 태도
- 열린 가능성이 있는 장소, 열린 숙제가 주어진 설계공모남산 회현자락 3단계 조성사업은 이미 완공된 1, 2단계와는 다른 방식의 복원과 공원 조성을 위해 2013년 5월, 문화재, 역사, 건축, 도시, 조경 등의 분..
서영애/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09호
- 2013 일본 가드닝 월드컵
- 세계의 정원디자이너들이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에 위치한 테마파크 ‘하우스텐보스(Huis Ten Bosch)’에 모였다. 이 지역은 핵무기 사용을 목격한 지구상의 마지막 장소이며, 지금은 ..
박소현 기자/월간 환경과조경/2013년12월308호
- (주)동림이엔씨
- 이맥스아쿠아
- 꽃길
- 휴안
- 에스에이건설
- 윤토
- (주)원앤티에스
- 로프캠프
- 아썸
- 가나안건설
- 미주강화
- 디자인파크개발

- 샘디지텍
- 림인포테크
- 브레인트리
- 일진글로벌
- (주)대지개발
- 인포21c
- 상명대학교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예건
- 키즈몽코리아
- 엘그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