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구 조선총독부 건물철거와 경복궁 복원의 문화사적 의의
경복궁은 서울의 중심축인 조작대로의 얼굴이다. 그러기에 경복궁은 서울의 얼굴이다. 서울의 얼굴은 우리민족 문화의 얼굴이며 장차 통일 한국의 얼굴이 된다. 총독부 건물이 철거되면 서울의 주작대로에 서..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지피식물의 현주소와 활성화방안 ; 지피식물 생산, 유통의 문제점
지피식물이 조경소재로서 국내에 도입되면서 지피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자상식물전시회를 갖기 시작한 1980년대 초부터이다. 이때 벽걸이를 이용한 헹잉가든 형식의 마삭줄 계통의 식..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지방자치시대와 마을가꾸기 ; 일본의 경관 연구 여행을 통하여
 후루가와 마을에 도착한 것은 오후 3시가 조금 넘어서였다.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미가 있는 도시로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곳으로는 「교토」나 「나라」를 들 수 있겠지만 작은 「교토」라는 별명을 ..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지피식물의 현주소와 활성화방안 ; 특수분야별 지피식물 활용과 극대화방안
-휴양림과 같은 수림하에서 효과적인 지피식물 산림개발지역 내 수림하의 조경용 지피식물의 선택과 적용은 첫째, 그 지역의 개발 훼손되는 지역에서 선별적으로 옮겨 심어 자연 경관을 최대한 살려주는 종이..
박광우/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독일 연방정원전시회 콧부스 1955
분데스 가르텐 샤우, 약자로 부가라고 불려지는 독일연방정원전시회는 1951년부터 2년에 한 번씩 큰 도시에서 개최되고, 10년에 한 번씩은 국제정원전시회(IGA)로 크게 확대되어 외국의 정원도 소개된다. 그 ..
이은희/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자연과 사람이 교감하는 곳 ; 분재예술원
 제주국제공항으로부터 경관이 수려한 서해선 국도를 약 50분 정도 타고 달리다 한림읍을 지나면 제주 서부권에 위치한 분재예술원 환아문에 이른다. 이름 그대로 제주의 그 많은 볼거리 중에서도 유독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인건비 절감, 무공해 조경자재 발굴 판매에 주력
조경사업도 양보다는 질을 추구해야 한다. 이는 곧 좋은 자재가 아름다운 경관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조경건설 시장에서 초기투자는 될 수 있으면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유럽연수기 ; 이탈리아 보마르조의 미스테리 정원 SACRO BOSCO
 20여년동안 운전기사를 했다는 이탈리아 버스기사 카를로도 처음 가본다며 길을 물어물어 찾아갔던 곳 보마르조의 SACRO BOSCO는 짙은 숲속의 적막함과 거대한 조각들이 절묘하게 조화된 곳으로 평범한 ..
박기숙/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지피식물의 현주소와 활성화방안 ; 지피식물의 활용실태와 생산 유통현황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약 4천 5백여 종의 고등 식물 중에서 조경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수종은 약 1백 20여 종에 불과하며 그중에서도 대부분이 교목이다. 따라서 조경설계 및 시공과정에 적절한 하층식재..
한병권/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지피식물의 현주소와 활성화방안 ; 외국의 지피식물 이용현황
-일본에서의 지피식물 이용 근대에 이르러 일본에 자생하는 야생초화류들의 생리적인 특성이 연구자들에 의해 구명되면서 소재가 다양해지고 식재방법을 비롯한 다채로운 이용법도 개발되었다. 특히 생활 형태..
안영희/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지피식물의 현주소와 활성화방안 ; 국토조경차원에서 본 지피식물의 위상..
넓은 의미에서 지피식물이란 조경현장에서만이 아닌, 지상의 모든 땅 표면을 근접하여 피복하는 식물의 통칭인 즉, 무릇 땅을 가꾸는 자는 물론 민족을 이끄는 선각자들은 생활주변에 펼쳐지는 절대다수의 지..
이삼우/월간 환경과조경/19951090
문화와 여유가 있는 푸른도시로서 이미지 구축
영등포구내 공원·녹지의 총면적은 1.65k㎡이며, 이중 도시공원 면적은 0.19k㎡로서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0.4㎡에 불과하다 이중 조성된 도시공원 면적은 0.22㎡이며/인이며. 이는 도시공원법상 6㎡/인에 훨..
김두기/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구 심벌마크등 자치구 이미지쇄신과 문화송파로 가꿀터
환경문제는 더 이상 관심의 대상으로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존에 직결되는 절박한 문제로 우리앞에 성큼 와있다, 지난 30여년동안 국토개발과 경제성장을 숨가쁘게 추구해오면서 인간과 환경에 ..
김성순/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나의 풀 한포기 실천이 세계를 덮는다.
모든 먹이의 근본은 식물이다. 이것이 없으면 이를 먹고 사는 가축은 물론 사람도 살 수 없다. 생명체의 모든 먹이사슬은 한그루의 나무, 한포기의 풀에서 시작된다. 녹색이 사라진 아프리카대륙에서 기아의 ..
이용수/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환경, 문화, 경관등 3박자 조화시킨 관광휴양지로 추진
제주도의 관광개발은 과감한 민간자본의 유치와 다양한 방식의 도민 참여로 세계인 누구나 즐겨찾고 싶어하는 세계일류의 휴양관광지로 만들어 나갈 것이다, 지금은 보는 관광의 형태에서 머물고 참여하는 세..
신구범 /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