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포기하지 않는 정성과 노력으로 주민의식 조화 주력
최근 몇해 사이에 환경 및 녹지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진 것을 느낄 수 있다. 인구의 격증, 도시화의 급속한 진전, 과학기술과 산업문명의 발달에 치우친 기형적 성장에 기인한다고 볼 수 ..
이정규/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자연미 살린 <선진푸른전북>조성
도시화·산업화로 환경이 급격히 파괴되고 산림면적이 감소하는 반면에 소득증가로 인해 쾌적한 생활환경과 자연속의 레져활동에 대한 욕구가 높아가고 있어 도시의 근린공원에 방치된 분량림 갱신과 공업단지..
유종근 /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심장부의 복지행정타운을 녹지중심축으로 조성
금천구는 앞으로 구의 중심인 독산동 소재 군분대를 이전토록 하고 그자리에 구청사, 구민회관, 문화체육시설 등 복지행정타운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곳에 구민이 마음놓고 휴식할 수 있는 근린공원을 병행 설..
반상균/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조경수의 보호관리
대형목 이식은 뿌리의 지나친 손실로 이식후 수세쇠약, 발근부진, 합병증에 의한 병충해 발생등으로 수목 보호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많다, 대형목 또는 고목 이식은 원칙적으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는..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잠재자연환경 보존과 첨단업종 유치로 인간과 환경 공동체 조성
우리 광주시는 타 대도시에 비하여 도시개발이 낙후된 반면, 자연환경이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어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 따라서 광주에서의 산업화는 더욱 촉진되어야 하나 그로 인하여 기존 도시환경을 ..
송언종/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생활주변의 환경조림 위주로 조림정책 펼칠터
우리도는 과거 농경사회시대에는 경제적 기능제고가 목재생산의 주목적이었으나 오늘날 산업화 시대에는 상대적으로 환경과 관련된 공익기능의 비중이 크게 되어 과거 경제림위주의 산지조림에서 생활주변 환..
김혁규 /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미시설 공원개발에 중점 노력
먼저 녹색공간하면 연상되는 것이 어린학동시절 고향마을의 풍경이다. 시골에 고향을 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나또한 고향에 대한 향수와 지금도 고향을 생각하면 편안하고 정다운 곳으로만 느껴지는 것..
박원철/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대모산 양재천등 인근의 자연요소를 최대한 활용
우리구민의 좀더 안전하고 편안한 자리로서 숲이 울창한 자연녹지고간이 살아 숨쉬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면서도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와 제도적 뒷받침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우선적으로 ..
권문용/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클린그린타운
우리나라에도 고속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지하관로로 수송하는 선진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도입된다, 한국토지개발공사에서는 약 30만평의 주택단지인 용인수지택지개발지구에 국내에선 처음으로 「..
홍성덕/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경관회복과 볼거리 제공으로 부족한 공원면적 극복
오늘날의 도시인에게는 산업화의 와중에서 인간자신을 재창조하고 싶어하는 욕망과 복잡하고 인공적인 도시환경의 일상생활에서 벗어서 휴식과 위안, 개성의 개발을 위하여 야외에서 여가를 선용하고 싶어사는..
이문재/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지방자치시대와 마을 가꾸기
오오가기시는 1985년 6월 국토청으로부터 「지방도시 중심시가지 활성화계획」의 모델도시로 인정을 받아 오오가기역 지구개량사업, 오오가기성주변 정비사업, 시가지개 개발사업 등을 중심사업으로 하여 민간..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환경전문가 및 각종 자연보전연구모임 실무자와 협의거쳐 생명자치구 조성
세부추진 계획은 첫째, 자연환경보전에 따른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부지사외 7명으로 구성된 자연환경보전 추진협의회와 보사환경국장외 9명으로 구성된 자연환경 보전 추진실무단을 구성, 자연환경보전에 필..
허경만 /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향토식물 가꾸어 정서함양과 자연학습장으로도 활용
동작지역은 녹지지역이 지역 전체면적 16.38k㎡의 23%인 4.05k㎡가 차지하고 있다, 이중 녹지대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원은 근린공원 8개소와 묘지공원 2개소가 있으며, 국사봉, 까치산, 서달산 등의 산지도 있..
김기옥/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새로운 「패러다임」의 미래도시에 대비한 생동감 넘치는 지역으로
도심내에 있어서의 녹지공간은 도시자체에 생동감과 생명감을 주어 쾌적한 생활공간으로서의 오픈스페이스로서 생활의 질적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우리 경기도는 수도권의 특수승으로 개발..
이인제 /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주거환경 우수지구로 만들터
우리구는 목동 신시가지의 계획적 개발에 의해 아파트 대단위 단지가 잘 조성되어 어느구 보다도 쾌적한 녹지생활 공간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구의 녹지공간은 자연공원으로 신월동에 온수공원이 있..
양재호/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