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한국도시의 옛숲 ; 경주의 옛숲
계림(鷄林) 경주계림은 면적이 7,270m2로서 신라건국 이전부터 존재했던 숲이다. 신라왕궁이 있던 월성(月城)서북쪽에 연(連)하여 첨성대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왕버들 등이 울..
황정환/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멕시코 세계조경가총회(IFLA)이사회를 다녀와서
 총회는 멕시코시의 닛코호텔에서 개최되었는데 멕시코시장이 개회선언을 하고 미국의 유명한 조경가인 Lawrence Halprin, Peter walker, Martha schwartz, 일본의 하루토 고바야시와 한국대회때 에도 기..
양병이/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서울 1000년 타임캡슐광장」명소화 방안 현상공모 수상작
서울시는 지난 3월 ‘서울 1000년 타임캡슐광장’ 명소화 방안 현상공모를 실시했다. 이는 오늘날의 생활상 등을 나타낼 수 있는 문물을 타임캡슐에 내장하여 매설하였다가 400년 후에 개봉하므로써 서울정도 10..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누원, 남원 광한루
누란 기등이 충 받침이 되어 청이 높은 다락집을 말하는데 모두 난간이 있다. 누의 기능은 휴식하거나 경관을 바라보거나 연회 (宴會)를 베푸는 일과 시회 (詩會)나 춤 노래 등 공연의 장소가 되기도 하고 성..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모든 사람에게 자성을 촉구하는 공간을 위하여 -‘환경과조경’지 창간 12..
이론적으로는, 하늘 아래 있는 모든 공간은 하나하나가 독특한 잠재력과 살아 숨쉬는 장소입니다. 우리들이 모든 가능성을 시도해 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공간으로부터 많은 것을 기대할 권리가 있습니다. ..
자끄 시몽/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조경은 과연 종합과학예술인가? - 철학으로서의 조경
조경은 자연환경의 중요성이 더없이 중요시 되는 시점에서-환경 장식의 문제가 아닌 인간 생존과 직결된 문제로서- 자연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인간의 삶의 현장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휴머니즘..
김용규/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조경수의 보호관리 ; 병충해 상태
병충해의 발생원인과 방제 도시녹지 조경수목의 병충해는 단독 전파로 발생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환경요인과 토양조건에 의하여 많은 수목이 쇠약해지고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도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내가 들른 일본공원 ; 일본의 전통조경양식
 여러곳의 신사를 둘러 보았지만 공통적인 사항은 울창한 수림, 엄숙하고 질서정연함과 그 규모가 웅장하다는 것으로 거기에는 일본인들의 얼이 살아 숨쉬고 있었으며 오늘날의 일본이라는 국가를 경제대..
여운철/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한국도시의 옛숲 ; 서울의 옛숲
서울의 옛숲은 초기 서울의 도시입지를 결정해 주는 가장 중요한 지형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사산숲과 도성안밖의 숲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사산(四山)은 조선 600년에 걸쳐 소나무를 금양(禁養)해 오던 곳..
장동수/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과연, 목재방부처리기술 이대로 좋은가?
사회적 흐름과 이용자의 생활패턴은 목재의 이용을 더욱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에서 목재보전 처리에 대한 금후과제는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업연구원 이동흡 박사는 ‘목재보전처리제의 사용은 산림..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도심 한곳에 ‘조경인의 숲’조성, 심미적 편익 제공
서울근교에서 쉽게 도시녹지공간의 접근이 어려운 시민들에게 임업연구원 홍릉수목원내에 조성된 조경인의 숲이 심미적 편익을 톡톡히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 도시림의 혜택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이타카 도심지 재개발 계획
이타카의 중심 상업지역에 대한 공공개발과 민간개발을 위한 지침을 시 당국에 제공하기 위하여 세워진 본 계획의 개념은 도심지를 응대하게 계획하기 보다는 도심지 전체에 걸쳐 중심가의 여러부분을 전체적..
김신원/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잘못 알려진 미국 환경영향평가제도
NEPA의 정책과 목표를 연방기관들이 추진하는 계획과 사업의 실행과정중에 고려하고 통합시키는 사업추진의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환경영향평가서는 보다 공개적인 문서이다: 따라서 평가서는 사..
성현찬/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송파 21세기 구상 현상공모 수상작
주제별 수상작Ⅲ. 개성적인 문화예술 경관-최우수상 : 석촌호 가로계획윤성수, 윤광현, 이경재, 박명진(광운대)대상지역 : 석촌호수 -우수상 : PLACE FOR ALL서훈식, 김성진, 오형진(숭실대)대상지역 : 백제초..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775
실버타운 ; 국내 실버타운 개발, 현황과 전망
현재 우리나라에 정식으로 개발되어 운영중인 실버타운은 없으며 노인복지법상 수익자 부담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유료노인주거기설은 3개소로 사회복지법인이 운영중인 유료양로시설이 유당마을, 혜성원 2개..
박병규/월간 환경과조경/1994775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