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일산호수공원 조경설계
-계획의 개요 --과업의 목적 : 일산 신도시의녹지체계상 가장 큰 면적의 오픈스페이스이며 신도시의 개성있는 경관상징요소인 호수공원(제 16, 17, 18호 근린공원)을 물이라는 자연적 요소를 적극 도입하..
쌍용엔지니어링(주)/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생강나무, 당매자 나무
-생강나무 생강나무는 함경남·북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서 자생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100~1,600m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는 일본과 중국에 분포되어있다. 이 나무는 계곡이나 개천가..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조경이란 도시와 인간 그리고 자연의 조화” - 나기정 청주시장
「조경이란 자연과 인간, 도시건축물과의 조화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금 청주를 비롯한 각 도시환경구조 속에서 조경은 악세사리에 불과합니다. 앞으로는 도시구조와 문화사업을 추진 할 때 조경관계인도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6백년 수도서울, 도시환경의 맥을 짚어본다 ; 풍수로 본 서울 도시공간의..
-풍수의 보편성 문제 서울이란 땅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다. 하지만 서울이 거쳐온 역사는 단순하지 않다. 전근대적인 왕조시대의 중심지에서 자본주의의 중심지로 탈바꿈했다. 도시의 역할과..
한동환/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국제정원박람회를 다녀와서
- Rosenstein Park :이 곳은 Munchen에 있는 영국의 풍경식 정원을 모델로 하여 조성한 곳으로 아늑하고 조용하며 높은 나무들과 넓은 잔디밭과 차분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으며 질감이 곱게 처리되어 있어 마..
박종성/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투수성 포장재 NEO-STONE : 골재 자체 색상으로 자연미 느낄 수 있어
NEO-STONE은 천연색을 규격별로 선별하여 투수성이 우수한 특수수지와 혼합해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는 공법으로 만들었다. 이 NEO-STONE은 골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상이 주위경관과 좋은 조화를 이..
(주)청림산업/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대천시 동대교 기본계획(안) 현상공모 수상작
-기본구상 --구조상의 고려점 : 기능성, 내구성, 안정성, 경제성, 교통처리방법 --도시경관의 고려점  ---상징성 부여 : 동대교는 대천시의 가장 대표적인 구조물로서 대천시민 뿐만아니라 외..
편집자/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일본의 도시경관시책
- 도시경관이념의 발아기 일본에서 최초로 도시경관이라는 개념이 사용된 것은 1960년대초의 일이다. 이것은 영국의 Gordon Cullen이 쓴 Townscape라는 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이다. 도시의 제일 큰 매..
Kitahara Toshio/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지바(千葉)대학
-지바대학 원예학부의 역사 지바대학 원예학부는 메이지42년 지바현 원예전문학교를 전신으로 출발하여, 지금까지 약 82년이라는 일본 제1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발전하는 대학이다. 지바현립 고등원예학교(..
유상오/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제4회 조경,환경분야 문예,미술,사진 공모 ; 그림부분_청주대 조경학과 4..
환경과 조경에서 실시하는 작품공모의 취지로 보았을 때 젊은 디자이너들이 갖추어야하는 미술가적 시각과 환경의 이미지를 재현해내는 힘, 환경예술가로서 긍지를 드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줌과 동시에 ..
심사평_김길홍/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6백년 수도서울, 도시환경의 맥을 짚어본다 ; 민가정원
민가란 우리 조상들이 살아왔던 주거공간이요, 민가정원이란 주거공간 속에서 자연을 노래하고, 자연을 벗삼아 풍류를 즐겼던 대상이었으므로 대단히 중요한 문화유산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도시화와 개발이..
이재근/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식물다양성보전과 지속적 개발(5) -서식처 복원과 관리-
모든 동식물의 군집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재반 교란현상 즉 산불, 가뭄 또는 지표의 침식에 의한 변화 등과 같은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영향을 생태계내의 평형을 파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어나고 있기에 ..
김용식/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제4회 조경,환경분야 문예,미술,사진 공모 ; “자네, 고향이 어딘가?” 수..
“서울 600년”이라는 제한을 너무 의식한 탓인지 응모한 글 대부분이 “서울”을 설명하는 선에서 머무르고 있다. 특히 수필부분에 있어서 서울에 관련된 많은 내용을 나열하고 있으나, 그 내용들이 횡적연관을 ..
심사평-이석래/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식물이 잘 서식 할 수 있는 토양 생태계
식물은 지구환경 어디에도 존재한다. 육지나, 바다, 강과 호수는 물론이고 땅속깊이 1m가까이에도, 남북극 빙하의 표면 그리고 88℃ 가까운 뜨거운 온천수에도, 사막에도 서식하면서 지구생태계의 생산자의 역..
최영길/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6백년 수도서울, 도시환경의 맥을 짚어본다 ; 수도 서울, 숲의 생태계
생태계는 사람, 동물, 미생물 등의 생물과 물, 기후, 토양 등 생물을 둘러싼 주변의 무기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서로 독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어 영향을 주고 받으며 균형을 유..
김상균/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