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평촌 현대아파트 수로공원
기본계획_현대산업개발 실시설계_아람조경 분수설비공사_레인보우 식재공사_삼덕조경개발  어린이 놀이터와 같이 동적인 물놀이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접근과 안전에 주안점을 두고 계획된 이 공원..
공현미/월간 환경과조경/19931066
소르본느 대학교
학교소개 프랑스 파리 중심부 쎄느강 남쪽 Quartier Latin(라틴구역)에 위치한 소르본느 대학교(Universitéde Paris-IV : Paris-Sorboone)는 13세기 중엽인 1257년에 세워졌다. 수없이많은 졸업생들 중..
김태휘/월간 환경과조경/19931066
청소년 수련시설 ;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이해와 그 설치절차
수련시설을 지칭할 때는 단순히 하드웨어적인 요소에 해당되는 시설·설비나 공간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소프트웨어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프로그램과 이를 기획, 운영하며 청소년을 지도하는 청소년 지도자..
최종인/월간 환경과조경/19931066
통일신라 사원3
남원 실상사_실상사는 최초의 선종(禪宗) 사찰로서 신라 흥덕왕 3년(828) 당나라에 가서 선법(禪法)을 배우고 돌아온 홍척(洪陟)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신라 후기에 들어온 선종에 의하여 사찰에 승려의 부도(..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1066
주요 조경용 수목의 생태적 특성
조경수목은 조경에 있어서 가장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자연을 토대로 하고 있는 인간 생활환경 주변의 정화와 미화 및 쾌적하고 합리적인 환경을 계획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렇게 외부공간과 내부..
최준영/월간 환경과조경/19931066
전통조경에 나타난 과학성 ; 배수처리기법을 통해 본 수경시설의 과학성
이중환의 택리지 중 복거총론(卜居總論)의 지리(地理)에는 “거산필득본 배수연후 방진생화(居山必得本 配水然後 方盡生化)”라 하여 이미 배수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물의 흘러오고 흘러감이 자리에 합..
황용득/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조경관련법규 연구 -도시공원-
현재 조경분야에서 수행되어지는 프로젝트 중 공원분야는 가장 중요한 대상으로서 특히 도시공원은 이제 전적으로 조경업역으로 확보되어 시행되고 있는 바 공원개발사업 참여자들은 조그마한 부분에도 세심한..
장대수/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대전엑스포 현장에 우리꽃 활짝 -한국자생식물협회 김창렬 회장-
대전엑스포 현장에 우리 고유의 자생식물들이 많이 심겨져 우리 국민의 자부심이 됨은 물론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에게도 큰 자랑이 되고 있다. 여기에 한국자생식물협회(회장 김창렬)도 일조를 해 엑스포현..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환경보전을 위한 10년간
쓰레기 줍기 행사를 자연보호운동의 주측으로 삼은 양 쓰레기줍기를 폭넓게 전개했던 약 10년 전, 필자는 차라리 쓰레기 안버리기 운동으로 방향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역설한 바 있다. 그러나 10년이 지..
노재식/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매립지 토양개량제 개발 -가림산업 전부영 사장-
최근 매립지 나무를 위한 식재방법과 토양개량제를 개발한 가림산업 전부영 사장. 그가 바다매립지에 식재된 나무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퇴비회사 임원으로 근무하던 6년전 서해안의 한 공단에 ..
공현미/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안산도로공원
위치: 경기도 안산시 성포동 수인국도변면적: 514,700㎡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한국종합조경(주)시공: 서해개발(주) 계획목적안산시 진입부 수인산업도로변에 공원시설 및 녹지를 조성함으로써 도로이용객의 ..
서해개발㈜/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도시경관의 오늘과 내일 ; 외국의 도시경관 관리사례
일본의 경제계는 다양한 사회공헌 방법을 모색중인데 그 중 하나가 1990년 4월에 발족한 사단법인 일본경제단체연합회의 ‘1%클럽’이다. ‘인간과 기업은 상호협력 없이는 존속할 수 없는 사회적 존재이고, 상응..
이현택/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도시경관의 오늘과 내일 ; 도시경관의 현황과 문제점
-신의 은총: 자연경관세계 대부분의 대도시가 끝없이 펼쳐지는 광활한 평지에 입지하고 있어, 우리의 도시처럼 도시의 구석구석에 아름다운 자연을 품고 있는 예는 드물다. -도시속의 나이테: 역사경관우리나..
구자훈/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잔디시공, 무엇이 걸림돌인가
88올림픽을 전후에 대규모 주택단지가 신축됨에 따라 공원을 비롯한 주변녹지면적이 형성되었지만 조경식재공사 중 잔디시공이 다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보강되지 않은 곳이 거의 없다. 그 주된 원인은 설계..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도시경관의 오늘과 내일 ; 서울시 미래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서울은 천혜의 자연여건을 가졌음에도 아름답지 못하다. 아름다운 도시가 되려면 우선 자연환경이 원래의 모습을 되찾지는 못할지라도 그 윤곽만이라도 드러내야 한다. 적어도 네 개의 지천을 포함한 한강의 ..
온영태/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