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예술의 전당 ; 공공에 닫힌 문화예술공간, 그 진정한 탈출구는?
예술의 전당. 우리나라의 대표적 문화예술공간으로 자부하는 이곳이 안타까운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시민들의 문화 축제공간을 꿈꾸며 밤새워 도면을 그렸던 설계가를 반기는 것은 이제 아무것도 ..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두만강변 7백리를 다녀와서 ; 강변사람들의 잊혀졌던 모습들
 9월 7일. 연길에 여장을 풀 겨를도 없이 다음날부터 답사는 시작되었다. 그런데 안내를 하겠다는 젊은이가 별난 친구였다. 북경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임산가공 분야에서 뚜렷한 직장도 갖고 있던 그는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일산 신도시 ‘에코쉬피아’로 만든다 ; 일산구청 건축과 녹지담당 김운용씨
지난해 여름 잡지를 보던 일산구청 녹지담당 김운용 씨(42세)는 주민참여형 마을가꾸기에 대한 기사를 읽고는 눈이 번쩍 뜨였다. 연말만 되면 이듬해 사업구상과 예산책정에 부심해 왔던 그로서는 이것이 일..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국내건설시장 개방과 산업구조의 변화
국내 건설시장은 1995년을 기점으로 외국 건설업체에게 개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98년까지 건설공사부터 설계·엔지니어링, 건설감리에 이르기까지 건설산업의 모든 분야가 개방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국..
김재영/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실내조경에 적합한 수종
이번호에서는 실내조경에 적합한 수종을 알아보고, 각 수종에 적당한 일조량이나 온도, 물주기 등 관리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살펴본다. ※ 키워드: 실내조경, 수종, 식물 ※ 페이지 : 68 - 69
김순자/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현충사 성역화 사업
1972년 6월 중순, 미국으로부터 영구 귀국하여 청와대 근무를 시작한 지 한달 정도 된 어느 토요일로 기억되는데, 오전 근무를 마치고 귀가했을 때의 일이다. 수년만에 서울에서 처음 맞는 여름이라 입을만한 ..
오휘영/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프랑스의 ‘경관법’을 통해 본 경관보호법규,제도
 프랑스에서 1993년 신설된 속‘경관법’의 내용과 신설에 대한 영향 및 영역에 관해 논하기에 앞서 필자는 우선 법에 관한 연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법’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은 본 학문에서 논하..
김규원/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나의 시와 야생화 ; 잊지 못할 제주 여행
시인 송수권의 제주 여행기. 아래는 글의 일부. 내가 들꽃을 찾아나선 지는 오래 되었다. 최근의 인상적인 경험은 제주 한라산 용눈이 오름을 찾았을 때였다. 김순이 시인이 토종꽃으로만 뒤덮인 ‘용눈이 오..
송수권/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일제잔재 청산과 문화재조경 바로세우기
새끼시인에서 문화재관리국 직원으로 1950년대 후반 진주사범학교를 다닐 때만 해도 필자는 문학을 지망하는 새끼 시인이었다. 재학시 때때로 교지에 시를 발표하기도 했고 역사의식에 대한 책들을 탐독하기도..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주)신기 ; 재활용 지주대로 해외시장에 도전장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여 만든 지주대가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주)신기(대표 김인찬)가 자체기술로 개발, 제작에 성공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소재의 지주대는 기존의 나무지주대나 일반 합성수지로 만..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조경기술사 시험의 출제경향
조경기술사 시험은 지난 1월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 필기시험(논술시험), 자격심사, 면접시험의 단계로 진행된다. 이중 올해의 필기시험은 60회(3월 5일), 61회(5월 28일), 62회(9월 17일) 3회에 걸쳐 시행될 ..
김영모/월간 환경과조경/20003143
조경에 젊음을 바치고 ; 관악캠퍼스 마스터플랜의 수립
1973년 3월초 청와대에서 관악산 조림계획을 수립하여 조속히 보고하라는 지시가 하달되었다. 그 당시 미립목지가 많았고 토사의 유실을 막기 위해 사방공사를 한 곳도 있었다. 관악산 시설지역에 대한 영향에..
강우창/월간 환경과조경/20003143
조경사에 발을 들여놓기 30년
1950년대 후반부터 나는 전남대학교 임학과에서 삼림입지학과 양죽론 그리고 조경학 강좌를 담당하면서 대나무의 연구에 관여하고 있었다. 우리 대학이 있는 지방은 대나무의 고장이었기에 대나무에 대한 관심..
정동오/월간 환경과조경/20003143
첫번째 조경교육의 장, 서울대 환경대학원 그리고‘조경학 개론’ 발간
이번호에는 우리나라에서 첫번째 조경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1월호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당시 청와대의 요청으로 귀국한 필자는 조경분야의 육성을 어디서부터 ..
오휘영/월간 환경과조경/20003143
조경분야에서의 GIS 활용과 전망 ; 국내 GIS 활용 사례
해양수산부에서는 지난해 말 갯벌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정책수립은 물론 교육, 관광 등 다양한 부문에 활용 가능한 강화도 갯벌생태지도 시안을 발표하였다. 갯벌생태지도란 갯벌의 생태정보를 종합·도면화한..
김인현/월간 환경과조경/2000314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