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경관이라는 화두
- 경관을 화두로 삼기까지
이렇게 조경 공부를 시작한 지 20여 년이 지나는 동안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한것이 여럿이지만, 현재뿐 아니라 앞으로도 가장 중요한 나의 관심사는‘경관’이다. 그래서 나는 이것을 ..
황기원/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우리시대의 설계언어 ; 프랑스 - 정원, 대자연을 설명하는 화두
- 대자연과 정원, 생태소(生態素) 오늘날 경관에 대해 말하는 것은 곧 환경전체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경관을 만드는 모든 단계의 작업 과정에서 환경과 생태학, 도시와 인간의 문제 등이 마치 조경의 고..
박정욱/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불소 활용한 새로운 목재방부처리기술 개발 ; 익산대학 박희준 교수팀. ..
- 전북 국립익산대학 임산공학과 박희준 교수를 중심으로 지난’98년 창업한 우드텍(주)은 불소계 수지를 활용한 목재 도장처리 기술을 개발, 친환경적인 동시에 간소화된 공정과 적은 관리비용으로 그동안 환경..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용답토속공원
- 지난 ’97년 12월 완공된 용답토속공원은 군자교에서 이어지는 8차선대로에 바로 인접해 있어 무엇보다 행인들은 물론 인근 사무실 직원과 주민들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아기자기한 시설들로 인해 큰 호..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세계의 공원순례 ; 다링하버의 탬버롱공원 ; 도시복합재개발의 중앙에 위..
- 호 시드니의 다링하버는 워터프론트(Water Front), 도심재개발(Redevelopment)의 대명사로 불 리어지고 있으며 다용도 복합 토지이용의 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곳이다. 시드니 도시역사 발전과 맥을 같..
김홍규/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조경석다루기
- 금강산 일만 이천봉! 노래로도 불려지듯이 이 얼마나 절묘하고 아름다운 암경(岩景)인가. 창조주가
인간에게 준 가장 아름다운 선물의 하나라고 볼 수 있는 설악산의 암경이나 계곡의 아름다움에 반하지 않는..
김정선/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방부처리 목재의 사용 및 환경안전성
- 한국산업규격(KS M 1701)에 등록되어 있는 무기계 수용성 방부제 중 국내에서 처리재 생산에 사용되는 방부제는 세 종류, 즉 CCA 3호, CCFZ(상품명: ZKF), ACC가 있는데, CCA 3호는 비소와 6가크롬 화합물을 ..
김규혁/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보고듣고 참여하는 환경박람회 - 99하남국제환경박람회, 미사리 조경경기..
- 이번 ’99하남국제환경박람회를 더욱 풍부하게 해주는 요소는 관람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체험공간이 많다는데 있다. 가족들을 겨냥한 흙마당 체험마당, 텔레토비동산, 희귀조류전, 환경놀이 마당, 지구 25..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교내후미진곳, ‘캠퍼스 정원’ 으로 ; 서울대 오병남 교수, 제자들과 함께..
- 서울대 미학과에는 특이한 풍습이 있다. 석·박사 논문에 통과하거나 유학, 취직, 결혼 등 잊지못할 중요한 날을 맞이하는 학생들은 나무 한그루씩을 꼭 교내에 심어야한다
지난 ’96년 가을부터 지금까지 동참..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용산공원 ; 도시민의 조용한 휴식처로서의 기능 회복해야
- 김정호 -“ 자연학습요소 개발로 임시
공원 성격 극복해야”
용산공원은 서울시에서 당초 계획안대로 할 경우 미8군 헬기장, 오수처리장, 클럽하우스 등의 시설부지가 모두 반환되어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산양이 뛰노는 설악 만들고파 ; 박그림 ? 설악녹색연합회장
- 박그림 씨는 현재 회원없는 설악녹색연합의 회장을 맡고 있다. 물론 모임이 결성된 ’93년에는 약 30여명의 회원이 있었다. 하지만 회원관리 때문에 정작 해야할 중요한 일에 소홀해지고, 또 회원들 역시 이런..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갯벌, 영원의 주름
- 잡초와 야생화, 나뭇가지와 잎맥, 벌레와 거미줄을 거쳐 도달한 것이 바로‘갯벌’이다. ‘갯벌’에는 지금까지의 관심과 생각들이 집약되어 있다. 갯벌은 너무도 큰 상징의 세계이다.
드러내어‘생명체’를 그리지..
조광현/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우리꽃의 조경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우리꽃 보급의 현황과 문제점
- 우리꽃 저변확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고유의 식물자원 경시풍조 지양돈이 되고 자원이 될만한 식물은 이미 미국 이나 일본, 영국 등 선진국에서 다 가지고 가고 남아있는 우리식물자원들은 활용가치가 거의 없..
김창렬/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21세기 관광문화의 새로운 비전 - 99 강원국제관광엑스포, 관광명소와의 ..
- 관광 및 관광산업과 연계된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 첨단 과학기술까지 보여주는 국내 최대규모의 관광엑스포인 ’99 강원국제관광엑스포가‘인간과 자연, 미래의 삶’이라는 주제로 지난 9월 11일부터
10월 30일..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우리꽃의 조경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우리꽃의 바람직한 보전과 활용
- 활용방안<다양한 유전적 가치 >신품종의 개발현재 우리꽃은 야생상태에서 종자 또는모수를 얻어 이를 대량증식하여 거래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야생의 식물을 꽃으로 보기 위해 활용하려면 원예화하는 ..
이유미/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