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미츠코시(三越) 포목점 옥상정원
1914년 당시의 옥상정원 고찰(1) 이 연재에서는 몇 번이나 소개해 온 미츠코시(三越) 포목점의 옥상정원이지만, 새로운 자료가 또 손에 들어 왔으므로 소개한다. 끈질긴 녀석이라고 생각될 것 같지만 이런 수..
야마다 히로유끼/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139
한국론타이(주)
한국론타이(주)는 일본으로 녹화용 원자재를 수출하며 환경복원에 대한 중요성을 일찌감치 깨달아 녹화소재에 대한 자체적인 노하우를 축적, 곳곳에 건설되는 도로, 주거지대 및 공원, 신도시 등에 경제성과 ..
백정희/계간 조경생태시공/200373
꽝꽝나무
분포 및 특성꽝꽝나무는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부안과 제주도(표고 1800m까지), 거제도, 보길도 등 남쪽 섬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활엽관목이다. 토양은 토심이 깊고 수분이 있는 비..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8747
친환경하천 관리정책
하천은 국토의 생명줄이다. 하천은 육상생태계와 수상생태계를 연결하며, 도시와 외곽을 연결하는 광역적인 생태네트워크의 근간이다. 도시의 하천은 도시의 얼굴과 같고 포화된 도시의 녹색 휴식공간의 역할..
김석현/계간 조경생태시공/2006824
야생동물 서식처 복원공사의 필요성과 현황
‘생태’라는 언어가 이 시대의 중요한 코드로 등장하면서 생태적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으며, 관련 기술과 공법들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도시와 같은 생태적으로 열악한 공간..
구본학/계간 조경생태시공/2006521
토목공사 : 조경분야에서 알아두면 좋은 토목공사
조경분야 현장 실무자들이 알아두어야 할 토목분야의 공정과 공종 중 현장실무에서 간과하고 지날 수 있는 것들은 여러 가지들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잠시 간과한 어떠한 선공정이나 공종으로 인해, 이어지..
김원조/계간 조경생태시공/200331
동림산업 ; 세계로 진출하는 배수판 전문기업
지난 1998년 동림산업을 설립한 김성무 대표는 바로 이 점을 중요시 여겨, 무엇보다 기존 제품의 품질을 뛰어넘는 새로운 제품 개발에 주력했다. 그래서 나온 제품이 바로‘플러스 배수판Ⅰ, Ⅱ, Ⅲ’인데, 김 대표..
남기준/계간 조경생태시공/2004910
(주)휴세코의 조립이동식 목조건축물 ‘EMPIRO’
‘Eco-Friendly & Green Products’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LIG Huseco가 지난해 11월 아시아 최초로 국내에 첫 선을 보인 조립이동식 목조건축물인 ‘EMPIRO’는 강도가 좋고 견고하여 건축자재..
손석범/계간 조경생태시공/2011361
채석장 황무지를 세계적 명원이 된 부차드 가든
개발과 보전, 그리고 환경 친화적인 개발이 조경인에게 새롭게 다가온 것이 우리나라에서는 이삼십년전 쯤으로 보면 될 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경제적인 발전과 자연환경을 지키는 일에 있어서..
정태건/계간 조경생태시공/2006723
옥상녹화의 차열효과
옥상녹화의 차열효과를 측정해 보는 것은 어떨까. 옥상녹화의 효과가 가장 단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녹화에 의한 슬라브면의 온도저감 상태이다. 아마추어도 알기 쉽고, 꽤 요란스런 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야마다 히로유끼/계간 조경생태시공/200394
나무수국
1. 분포 및 특성나무수국은 일본이 원산으로서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심고 있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 2~3m정도 자라고 땅 밑 부분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와 수형을 갖추며 자란다. 또한 정원수나 ..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038
해미석, 옹기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창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8747
인천국제공항에 묻힌 소중한 추억들
인천국제공항의 조경공사를 담당했던 이태영 씨의 이야기를 담아보았다. 처음 공사를 시작하면서 그리고 공사가 다 끝난 후에 새롭게 떠오르는 추억들을 들어보기로 하자. ※ 키워드 _ 인천국제공항 조경..
이태영/계간 조경생태시공/200394
자귀풀, 차풀, 조개풀
Indian sensitive joint vetch, Senna, Hispid Arthraxon 자귀풀과명 _ 콩과(Leguminosae)학명 _ Aeschynomene indica L.자생지 _ 논, 논둑, 냇가, 습지, 밭 언저리 등에 자생형태 _ 습지에서 자라..
류병열 /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올바른 나무전정, 공사감독 핸드북
-올바른 나무전정- 수목을 식재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전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그 이유로는 많은 것들이 있지만 몇 가지로 추려 본다면 먼저 수형이 있을 것이다...수목의 수형은 그 자체로아..
편집부/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18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