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바이오 파라소
- 초경량 맞춤형 인공지반 녹화토양 - 과거 10여 년 동안 인공지반 녹화토양의 대명사로 알려진 펄라이트계 인공토양인 「파라소」는 투수성 보수성 등의 물리성이 우수하고, 양분보유력이 없어 수목의 과..
(주)삼손/월간 환경과조경/20027171
조경,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 조경가 작품중심으로
(1) 한강시민 체육공원이 공원의 특징은 한강변의 유휴공지인 고수부지를 체육공원으로 잘 활용한 것이다. 기대효과는 유휴공지를 활용하여 하천 경관을 미화하는것 이외에 청소년의 여가선용시설을 확충하는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271
메인 스트리트 가든 파크
Main Street Garden Park도심 재생 전략의 핵심 구성 요소인 이 공원은 도시민의 생활로 북적거리는 생기발랄한 공공 공간으로의 변신을 위해 전체 도시의 건물군과 길을 만들고 있는 주차장을 철거..
Thomas Balsley Associates/월간 환경과조경/20115277
조경용 수목 ; 편백, 나한백
-편백 과명 : 측백나무과 학명 : Chamaecyparis obtusa Endl. 영명 : Hinoki Cypress, Japanese Cypress 일본원산이며 우리나라에는 1904년, 일본에서 처음 도입된 이래 제주도 및 남해도서 지방과 남해안..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775
전통적인 환경과 오늘
예전, 산천경치따위는 도시인에게 그리 관심 있는 사항은 아니었다. 산천경치 속에서 사는 것보다도 도리어 네모반듯한 상자 속에 갇혀 사는 쪽이 훨씬 더 즐겁고 보람이라고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점..
박용숙/월간 환경과조경/198271
성호엔지니어링 최기호 부사장
“최기호 부사장은 여전히 손으로 작업하고 트레싱지를 애용한다. 조경계에서 가장 많은 트레싱지를 소비하지 않았을까 싶은데, 특히 계획안의 틀을 잡을 때면 상당한 트레싱지가 필요하다. CG의 도..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05265
올해의 조경인 ; 오희영 현대산업개발 상무이사[산..
대기업 임원으로서 조경분야 위상 정립 및 업역 확대조경분야 단합 및 기술교류 활성화에 주력조경분야 최초의 대기업 임원. 현대산업개발의 오희영 상무를 따라다니는 호칭이다. 1982년현대산업개..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오스트레일리아 가든
 지난해 개장한 Australian Garden은 멜버른에서 남동쪽으로 약 45분 거리에 위치한 Royal Botanic Gardens Cranbourne의 부속정원으로, 호주인의 정원이라는 이름처럼 호주적인 특색이 잘 묻..
김무한/월간 환경과조경/20076230
아산 배방 금호어울림
·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면 북수리 63-1· 면적 : 18,796.00㎡· 조경면적 : 4,340.12㎡· 세대수 : 410세대· 발주 : 금호산업(주)(대표 신훈, 조경담당 백승인 대리)· 조경설계 : 동림조경(강상..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58208
매립지 토양개량제 개발 -가림산업 전부영 사장-
최근 매립지 나무를 위한 식재방법과 토양개량제를 개발한 가림산업 전부영 사장. 그가 바다매립지에 식재된 나무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퇴비회사 임원으로 근무하던 6년전 서해안의 한 공단에 ..
공현미/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정원과 식물 ; 자연을 닮아가면서 사는 사람들 _ 그림 속의 식물들
자연의 위대함을 받아들이는 모습은 나라마다 다르다. 서양에서 자연은 인간의 힘을 드러낼 수 있는 정복의 대상이었고 동양에서 자연은 찬탄의 대상이었다. 동양인들에게 자연이 찬탄의 대상이었다는 전제는 ..
조정육/월간 환경과조경/20085241
현대조경양식의 경향과 과제 ; 세계적 조경양식의 특성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농오/월간 환경과조경/19931167
와우, 장안 제6어린이공원
 동대문구 장안동 325번지에 위치해 있는 장안 제6어린이공원의 개발전 부지내에는 환경미화원들의 사무실용 컨테이너 박스, 청소용 리어카 등이 산재해 있었으며 경계를 따라 조경수가 간간히 식재되어 ..
공현미/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우리 시대의 명작을 재구성하며, 도시+아치+강 2015..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타뷸라 라사와 팔렘세스트의 논쟁. 즉 대상지에 대한 태도의 논쟁은 근대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다. 그 논쟁에서 타뷸라 라사는 과거를 무시한 현대 문명의 오만..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11273
흐르는 도시, 부유하는 공공미술
Flowing City, Floating Public Art “나는 오브제가 아니라 공간을 만드는 작가다”영국의 조각가인 수잔나 헤론Susanna Heron은 유럽연합 이사회 빌딩의 공공미술 작품 <Slate Frize>을 설명..
윤태건/월간 환경과조경/20107267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