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과의 ‘나와바리’ 지키기
- 조경과 건축, 토목 분야도 지금까지는 각자의 영역이 존재했으며 그것을 인정하고 협력하는 상호보완체계를 삼각구도형태로 유지해왔고,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하고 연계하며 도시의 합리적 개발에 협조해 왔음..
최신현/월간 환경과조경/2008년10월246호
- 금호도 개발 기본계획 ; 광양제철소 주거단지 개발 기본계획
- -발주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위치 : 전라남도 광양군 골약면 금호도 일대 -면적 : 총 1.98㎢(약 60만평) -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연구소, 환경설계부 금호도 종합개발기본계획은 전라남..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설계부/월간 환경과조경/1983년2월2호
- 매화마름에 관한 연구 심포지엄
- 매화마름에 관한 연구 심포지엄A symposim for research of Ranunculus Kazusensis지난 2008년 7월 2일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은덕문화원에서는 (사)한국내셔널트러스트(대표 양병이)가 주최하는 ..
/월간 환경과조경/2008년8월244호
- 미디어시티UK CA 옥외 광장
- MediaCityUK Exterior Spaces미디어시티UK로 이전하는 창조적 기업들과 텔레비전 방송국들은 길레스피스Gillespies가 디자인한 신선하고 새로운 공공 공간과 워터프론트 경관에 깊은 인상을 받게 될..
Gillespies/월간 환경과조경/2011년9월281호
- 현장수첩(5) - 비탈면 녹화공사
- -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공사 -
비탈면은 자연의 섭리에 의해 생기는 자연비탈면과 인간이 편리를 위하여 발생하는 인공비탈면으로 나누어진다. 이번호에는 인공비탈면의 생성과 그 ..
김정일/월간 환경과조경/2003년2월178호
- 공원녹지 선진국 캐나다를 다녀와서
- 태평양 연안에 접해있는 캐나다 브리티쉬 콜롬비아주의 항구도시 벤쿠버에는 60만명이 살고 있으며 토론토, 몬트리얼 다음으로 캐나다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이다. -퀸 엘리자벧 공원 : 공원 정상에서 내..
최동국/월간 환경과조경/1994년7월75호
- 도시설계공모전
- 지난 10월 22일 (사)한국도시설계학회가 주최한 도시설계공모전의 당선작이 발표되었다. 학회 창립 10주년을 맞아 “Redesign of urban space”를 주제로 열린 이번 공모전에는 다수의 대학(원)생들이..
/월간 환경과조경/2010년12월272호
- 롱우드가든
- 롱우드가든(Longwood Gardens) 다국적 화학기업 듀퐁사 창업주의 증손자 피에르 듀퐁에 의해 지난 1906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롱우드 가든은 4.2 ㎢ 의 면적에 약 1만 1천여 종의 식물..
이학섭/월간 환경과조경/2008년8월244호
- 조선대학교 장미원
- 위치 :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375번지면적 : 5,299㎡(1,603평)설계 : 삼성에버랜드(주)식재시공 : 뉴코리아 장미원예시설물시공 : 남영건설(주), (주)남해안전조경사업비 : 9억2천6백만
2003년 ..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04년7월195호
- 난센파크
- Nansen ParkPREVIOUS STATE오랫동안 매우 아름답고 다양한 경관을 가지고 있던 경작지가 1940~1960년대 오슬로 국제공항이 들어서면서 평지가 되었다. 1998년에 공항이 후면 왼쪽으로 이전하면서, ..
Bjørbekk & Lindheim/월간 환경과조경/2010년5월265호
- 잊혀져가는 생활현장 보존·개발 기본계획
- 프롤로그탄광지역은 오늘날 우리나라 산업화의 가장 대표적인 상징 중의 하나였으나, 폐광이후 사회, 경제, 문화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는 역사의 퇴물이 되고 있다. 이미 사람들은 그곳을 떠..
김현정/월간 환경과조경/2005년6월206호
- 조경분야로서의 사회적 인식
- 공업화와 근대화의 강력한 추진으로 지형이 크게 바뀌고, 또 자연경관에 인위적 훼손을 가져오기도 했으나, 그런 반면 관광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이 추진되기도 했다. 또 국민들의 생활환경개선을 위해 여..
정충식, 장문기, 정재훈, 유원규/월간 환경과조경/1982년7월1호
- 자연형 호안공법의 원리
- 자연형 호안공법이란 자연상태의 하천에서처럼 식물을 이용하여 물과 바람으로부터 하안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식물을 이용한 호안공법은 시멘트와 콘크리트가 없었던 중세에 이미 그 기원을 찾..
김혜주/월간 환경과조경/1998년4월120호
- 조경의 정의 및 (사)한국조경학회지 제호 개정 토론회
- ‘조경’과 ‘Landscape’의 경계에서 조경 정체성 찾기
1973년에 국가정책적으로 조경 전문분야가 도입된 이래 조경의 함의는 지속적으로 변해왔다. 그리고 지식정보화, 세계화, 그리고 혼성과 융합..
나창호/월간 환경과조경/2009년11월259호
- 대성사 - 상토 생산 30년, 부엽토의 산 역사
- 30년 역사를 자랑하는 상토의 산실
조경수목 이식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토양개량제인 상토의 역사는 19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실, 1960년대 후반은 낙엽을 땔감으로 사용하던 그야말로 어려..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2년10월174호
- 윤토
- 에스에이건설
- (주)동림이엔씨
- 가나안건설
- 휴안
- 로프캠프
- 미주강화
- (주)원앤티에스
- 아썸
- 이맥스아쿠아
- 디자인파크개발
- 꽃길

- 샘디지텍
- 예건
- 림인포테크
- 상명대학교
- 일진글로벌
- 인포21c
- (주)대지개발
- 키즈몽코리아
- 브레인트리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엘그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