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국립경기장 기본계획 및 설계
발주처: 서울특별시 위치: 서울시 강동구 국립경기장 부지 면적: 1,691,854m²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부설 환경계획연구소 올림픽은 인류최대의 제전의 하나인 만치 올림픽 행사를 수용할 국립경기..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466
이올드 캐슬우드 파크 (Ye Olde Castlewood Park)
 이올드 캐슬우드 파크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의 테마를 바탕으로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스테이지로 조성하였다. 이 독특하게 고안된 공원에서의 특징은 대형 해바라기 조각상으로 생화..
김규형/월간 환경과조경/20084240
Michael Van Valkenburgh
빨간 머리의(Red-Haired), 집중력 강한 혹은 진지한 (Intense), 콧수염이 있는 (Mustache), 명확한 논리를 가진(Articulate), 끊임없이 변하는 혹은 변덕스러운(Volatile), 네모난 얼굴의(Square Face) 등으로..
김소형/월간 환경과조경/20043191
컴퓨터 매핑 시스템 ; 리모트 센싱 그리고 GPS-
리모트센싱이란 멀리 떨어져 있는 관측 대상물의 물리 화학 및 사회적 특성과 현상을 접촉에 의하지 않고 관측하여 지구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을 뜻하며 1962년 Michigan 대학에서 개최된 제1회 환경 ..
연상호/월간 환경과조경/19921155
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적 개발
특정식물집단에 대한 주연부효과에 대한 이론은 도서생물지리학 이론의 생성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동물군집의 경우를 고려한 가운데 비롯되었다. 이후 점차 식물의 집단에 대한 적용을 시도하게 되었는데 ..
김용식/월간 환경과조경/1994169
전통조경과 현대조경의 현주소 ; 조경설비 연출에 있어서의 접근방법
현재 도심지내 소규모 지역이 미니파크 소광장 공공정원속에 수경이 많이 활용되어져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나 인간에게 수경 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전달하여 줄 수 있는 수경에 대한 체계화된 이론정립의 미..
정운익/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올해의 조경인 ; 학술분야-정재훈 한국전통문화학교..
정재훈 ·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석좌교수전통조경 연구 및 문화재 관리에 바친 한 평생,올초 발간된 『한국전통조경』 문화관광부 학술부문 우수도서 선정되기도 전통조경, 문화유산과 함..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512212
호텔 신라 전정조경과 환경조각물
 호텔 신라의 로비 앞 전정 개조작업은 원래 있던 조각을 새로운 모뉴멘트로 대체하고 조경을 통해 호텔의 발전적 변화 모습을 보여주며 국제적인 호텔로서의 면모를 갖추자는 데 있었다. 과연 조경이 기..
정영선/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대구 지산·안심 하수종말처리시설
- 시설은 지하로, 지상은 공원으로 조성한 주민친화형 오픈 스페이스 <지산하수종말처리시설> ·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조경면적 : 28,122㎡· 발주 : 대구광역시 종합건설본부· ..
조수연/월간 환경과조경/200211175
인문생태조경 ; 인간생태학적 계획이론의 생성
60년대 후반부터 미국조경계에는 보수적 조경학과 생태적 조경학이라는 두가지의 계획이론이 지배적으로 대두되고 있었다. 생태적 조경계획은 인간이 이용하는데 있어서 기회인자와 제한인자들을 제공하는 자..
김재석/월간 환경과조경/1990937
무공해 천연식물 활력제 _ 키토메이트
식물이 병원균에 감염되면 뿌리로부터 흡수된 키토산은 병원균의 세포벽을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를 유도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살균한다. 또 항균단백질 등의 생합성 효소생산을 높여 식물세포의 자기..
금호화성/월간 환경과조경/1993763
한미 FTA와 조경 ; FTA와 조경분야의 대응전략
경제·사회적인 변화를 몰고 올 한미FTA협상이 추가협상까지 마무리한 채 한·미 양국의 국회 비준을 기다고 있다. 우리나라의 모든 분야에서 커다란 변화의 물결이 밀어닥칠 것이다. 그 중 건설 특히..
홍태식/월간 환경과조경/20079233
조경관리 ; 서울시 가로수 녹지대 조경관리 현황
서울시에서 가로수, 녹지대를 관리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있지만 가장 큰 문제점은 숙련된 인부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다. 또한 과거보다 수준 높은 관리가 요구되는 지금은 고가 사다리차..
박인규/월간 환경과조경/19921256
군산 나운 어린이공원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1167
서울시, 물순환 도시로 탈바꿈
서울시의 물환경 여건도시화로 인한 자연 물순환 악화서울시는 1960년대 이후 도시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였다. 도시화 이전에는 빗물이 땅속으로 많이 스며들 수 있..
정만근/월간 환경과조경/20138304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