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

옛 그림, 물을 철학하다

월간 환경과조경20138304l환경과조경

Water is expressed philosophically as old paintings

철학자가 바라본 물(2) _ 맹자
사람의 본성이 선한 것은 물이 아래로 흘러가는 것과 같다

2009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을 개최했다. 그때 특별전 제목이 ‘여민해락(與民偕樂)’이었다. 박물관 개관 1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에 ‘여민해락’이란 단어를 선정한 것은 특별한 사연이 있어서였다. 1909년에 순종이 대한제국 제실박물관을 국민들에게 개방할 때 많은 대신들이 반대했다. 이에 순종은 대신들에게 ‘여민해락’이란 단어를 들어 박물관을 국민들에게 개방해야 하는 근거로 제시했다. 한 나라의 문화를 가늠하는 척도라 할 수 있는 박물관을 왕과 대신들만 보고 즐기는 차원에서 벗어나 만백성이 모두 평등하게 감상하고 누릴 수 문화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의지의 천명이었다. 세간에서는 고종과 순종을 나라를 망하게 한 무능력한 왕으로 평가하지만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이 이와 같았다.
‘여민해락’은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다’라는 뜻으로 ‘여민동락(與民同樂)’과 같은 말이 다. 여민동락은 ‘여백성동락(與百姓同樂)’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홍제전서(弘齋全書)』에는 그 뜻을 ‘백성들과 호오(好惡)를 함께하고 그 이익을 독차지하지 않는 데에 있다.’고 풀이해 놓았다. ‘여민동락’은 그 출처가 『맹자(孟子)』이다. 『맹자』는 전국시대(戰國時代) 사상가인 맹자(孟子, BC.385~304)의 언행을 기록해놓은 책인데, 그는 전국시대 사상가 중에서도 특히 백성들을 중요시 한 민본 사상가였다. 그의 사상이 물을 통해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조정육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