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환경복원정보] 환경복원과 환경영향평가
환경복원과 환경영향평가글_한원형 환경영향평가협회 회장1. 환경영향평가에 대하여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성장정책 추진으로 건설과 개발에 매진하여 초고속성장을 이루어 왔으나, 개발 일변도의 정책 추진으로..라펜트2017-04-09
[세계유산] 유산보호의 개념은 언제부터 등장했을까?
세계유산의 중심에 서다 :제 1편 유산보호의 개념은 언제부터 등장했을까?글_신현실 북경대 세계유산센터 선임연구원‘유산(遺産)’이란 선대가 남긴 가치 있는 물질적·정신적 전통을 말한다. 대부분 인간의 삶과 관..라펜트2018-03-04
[조경칼럼] 특례제도는 공원을 만드는 제도
특례제도는 공원을 만드는 제도글_윤은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수석연구원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도입된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2009.1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라펜트2017-07-26
[조경칼럼] 공원녹지의 정책변천 과정과 향후 방향
공원녹지의 정책변천 과정과 향후 방향 글_김대성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자연생태과 산림이용팀장 우리나라 공원녹지 정책의 발아는 기존 도시계획법(1962년 발의)에서 1967년 공원법’을 분리하여 제정..라펜트2017-05-24
[기고]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계획), 서울로 7017 답사
언젠가 서울역 고가가 공원으로 재탄생한다는 소식을 들었고, 서울숲과 청계천에 이어 또 하나의 큰 화제를 만들겠구나!라며 기대했다. 고가 공원 조성 후 꼭 한번 방문하겠다고 다짐했던 기억이 난다. ..라펜트2017-07-09
[오피니언] 조경은 안전한가?
조경은 안전한가? 오정학 논설주간(경기도시공사 사업기술처) 인디언들의 말달리기는 특이하다. 빠르게 달릴 때면 이따금 말에서 내려 지나온 길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말을 쉬게 하려는 것도 지친것도 아니..라펜트2014-05-29
[오피니언]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공간, 옥상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공간, 옥상 이훈길 대표(ㄱ_studio)     드라마 <옥탑방 왕세자>의 옥탑방 세트로 옥상 공간 없는 옥탑방은 상상할 수 없다. 옥상은 영화나 TV 드라마의 좋은 소..라펜트2014-05-21
[미래포럼] 포스트시대, 잠재된 욕망에 조경의 미래가…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 ‘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3   포스트시대, 잠재된 욕망에 조경의 미래가…   김용규 대표((주)일송환경복원) 모두들 조경의 위기를 논한다. 위기감은 ..라펜트2015-08-23
[미래포럼] 미래조경, 농촌에 답이 있다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 ‘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2   미래조경, 농촌에 답이 있다   이유직 교수(부산대학교 조경학과) 현재 우리 사회는 질적인 변화의 시대에 접어들었..라펜트2015-07-21
[미래포럼] 통일시대의 조경은 ‘대박’인가?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 ‘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4 통일시대의 조경은 ‘대박’인가?   박명권 대표(그룹한어소시에이츠) 2013년 초, 투자의 귀재라 불리는 짐 로저스(Jim ..라펜트2015-09-22
[녹색시선] 조경의 가치
조경의 가치글_김수봉 교수(계명대 생태조경학전공)어떤 것의 가치라는 것은 그것의 쓸모 혹은 인간과의 관계에 의하여 지니게 되는 중요성을 말하며 더 나아가서는 인간의 욕구나 관심의 대상 또는 목표가 되는 ..라펜트2015-11-26
[녹색시선] 정원의 생산과 윤리에 대하여
정원의 생산과 윤리에 대하여 글_ 권진욱 논설위원(영남대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교수)  지난해 유난히 대한민국에는 정원과 관련한 화제 거리가 많았다. 다수의 지자체와 단체기관에 의해 진행되..라펜트2016-01-14
[녹색시선] 신기후체제 파리협정이 조경분야에 주는 의미
신기후체제 파리협정이 조경분야에 주는 의미글_양병이 명예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지난해 12월 12일에 국내외 언론들은 일제히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전 세계 195개..라펜트2016-01-05
인류의 역사(歷史)
인류의 역사(歷史)박경복_(사)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 이사장(주)가든프로젝트2015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논쟁이 찬반으로 뜨거울 때, 필자는 조경분야의 역사인 조경사를 전공한 입장에서 조경사에 대해 논쟁이..한국건설신문2015-12-18
[녹색시선] 도시 최적화를 위한 요소, 생태
새로운 도시건설 패러다임 - 생태 최적화(2)도시를 최적화하기 위한 요소, 생태도시의 발전적 역사로 볼 때, 어떤 문제제기가 이들 도시들에게 가장 필요했는지를 찾아본다면 그것은 도시 자체가 갖는 현황과 특성..라펜트2015-09-03
[녹색시선] 조경학 연구주제의 우선순위
조경학 연구주제의 우선순위글_전승훈 교수(가천대학교 조경학과)끊임없는 혁신과 변화를 요구하는 무한 경쟁의 글로벌 시대에 직면하여 다시금 조경, 조경학의 정체성 확보와 전문성 강화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라펜트2015-12-10
평화공원을 국가공원으로!
평화공원을 국가공원으로!    김승환 100만평문화공원 운영위원장 국가도시공원 전국민관네트워크 상임대표 동아대 조경학과 교수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월 미의회 연설에서 ‘DMZ세계..라펜트2013-10-19
[녹색시선] ‘국가기술자격’의 기준은 무엇인가?
‘국가기술자격’의 기준은 무엇인가?글_진승범 대표(이우환경디자인(주))중학교 시절 배운 수학 과목의 내용 중에 ‘집합(集合)과 원소(元素)’라는 개념이 있다. 집합이란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그 대상을 분명히 ..라펜트2015-11-13
1 2 3 4 5 6 7 8 9 1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