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시선] ‘모두의 집’ 리와일딩 건축 공모전의 초대

글_최진우 논설위원(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
라펜트l최진우 박사l기사입력2023-09-12

‘모두의 집’ 리와일딩 건축 공모전의 초대





_최진우 박사(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



정림건축문화재단에서 매년 ‘정림학생건축상’ 공모전을 진행합니다. 건축계에서는 꽤 유명한 학생공모전이며, 보통 참가팀의 규모가 200팀 이상이라고 합니다. 

2024년 공모전의 주제는 ‘모두의 집 내일의 지구를 위한 오늘의 건축’입니다. 여기서 ‘모두’는 인간사회에서의 ‘모두’가 아니라 인간이 아닌 ‘비인간생물’ 누군가를 정하여, 그들과 함께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에 대한 건축적 성찰을 모색합니다.

설계과제는 현존하는 부지/건축물/장소/기반시설 등 인간이 만든 구조물을 선택하여 ‘지구’의 관점에서, ‘모두’로 확장된 사용자의 관점에서, 현재의 계획대상지를 성찰, 전향적으로 재검토하고, 참가자가 정한 시간의 스케일로 리-이노베이션(리노베이션)의 미래 시나리오를 작성함으로써 ‘모두’를 위하여 공간을 점유하는 새로운 거주 방식을 제안하는 것입니다.

공모전 참가는 다양한 배경을 지닌 구성원으로 팀을 구성하기를 권장하며, 이번 공모가 집단지성, 협동 연구의 기회가 되기를 바라기에 조경을 배우는 학생들의 참여가 중요합니다. 11월에 주제설명회가 있고, 내년 1월에 작품 제출입니다.

이번 공모전이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거주자’, 스스로를 대변할 수 없는 ‘사용자’의 요구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에 관한 자유로운 상상을 펼치고, 다양한 부문과의 소통 및 협동연구가 집단지성의 기회가 되어, 국내에서도 리와일딩 건축(Rewilding Architecture)의 전환적 시도를 일으킬 새로운 지식과 경험의 초석이 될 것이라 기대됩니다. 

아래의 글은 공모전 소개글을 작성한 세 분의 심사위원 중 저자가 작성한 글입니다.

사람이 만든 인공물질이 지구 생물량을 넘어섰다. 인간 활동 영역이 확장되면서 경작지가 늘어나고, 건물과 도시 건설이 이어졌고, 반대로 야생의 면적은 계속 감소했다. 20세기 초반에는 인공물질이 전체 생물량의 약 3%에 불과했는데, 불과 일세기 만에 인류의 인구는 4배가량 증가했고, 1960년대 이후로 인공물질은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인공물 대부분은 콘크리트와 골재, 벽돌이나 아스팔트 같은 건설재들이다. 이제 지구상에 존재하는 동물의 생물량은 인공물의 0.36%에 불과하다.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1만 년 전 인간과 가축은 지구 생물량 중 1%에 불과했으나, 이제는 90%가 넘는다.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에서 야생동물과 인간·가축의 무게를 대조하며 지구 동물 중 한 종에 불과한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간이 야기한 기후변화와 과도한 개발은 오랜 기간 유지되어 온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리며 수많은 야생동물을 내쫓고 멸종의 길로 인도했다. 그 결과는 사스, 메르스, 코로나19와 같은 인수공통감염병의 발생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인간 탐욕의 결과가 부메랑으로 되돌아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이다.

인류문명의 발전과 인간 정주지와 도시 확장은 자연과 야생동물의 터전을 밀어내고 그들의 희생을 발판으로 이룬 성과이다. 앞으로도 자연과 야생을 계속 말살할 것인가? 도시에서 야생동물을 혐오하고 배제할 수밖에 없는가? 과연 인간의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은 야생의 온전한 자연과 대척점인가? 인수공통감염병을 예방할 방법은 야생과의 차단과 격리가 최선인가? 야생과 함께 공존하는 방안은 없는가? 

찰스 다윈의 후계자로 불리는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인간의 유전자에 본능적으로 자연과 생명을 사랑하는 바이오필리아(Biophilia)가 내재되어 있다고 했다. 바이오필릭시티(Biophilic city)는 단순히 물리적인 차원에서의 친환경 요소가 아니라, 인간 삶의 공간과 자연과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중요시 여긴다. 야생과의 호혜적인 상호관계성을 기반으로 자연과의 유대감을 키워야 한다. 인프라 차원에서의 녹지공간은 권태롭고 작위적인 경관일 뿐이다. 다양한 생명을 품어내는 야생의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 

우리는 자연 없이 살 수 없으며 오히려 야생의 귀환을 열망하기도 한다. 야생을 지워버리고 야생에서 벗어나려고 했던 문명은 이제 자연과 맺어 온 관계를 반성적으로 돌아보고 다시 야생으로 생태적 전환의 방향을 돌리고 있다. 유럽과 북미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리와일딩(재야생화, Rewilding)은 근대적 인간-자연 관계를 전환하고자 하는 시도이며, 세계 곳곳에서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리와일딩은 인간의 자연에 대한 통제와 관리를 통해 작동하는 근대적 자연 보전과 차별화된다. 비인간생물 스스로의 활력과 의지에 따라 탈바꿈하도록 야생에 길을 열어주는 회복의 방법이다. 대형 포식자의 귀환으로 생태계의 역동적인 상호관계가 풍부하게 돌아오기를 바라기도 하지만, 꼭 그런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한편,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물러나거나 이상적인 생물종 조합을 재건하고 복원하는 것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리와일딩의 핵심은 자연과 우리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다. 인간을 야생의 자연과 다시 연결함으로써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고, 다른 종의 삶도 보호할 수 있다.

“우거지고 우글거리게 둘 수 있다면, 더한 아름다움을 만날 가능성이 열리는 것이다.” - 정세랑 작가의 ‘설렁설렁 탐조생활’

우리가 생활하는 도시와 마을에도 야생은 돌아올 수 있고,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그들은 이미 같이 살고 있다. 어떤 생물종은 환영을 받기도 하지만, 대개 불쾌하고 피해를 준다며 혐오와 배제의 위협을 받는다. 생명을 배려하지 않는 싹쓸이식 개발 관행과 벌레 한 마리를 용납하지 못하는 박멸된 깔끔함을 선호하는 태도가 문제다. 그런데도, 야생은 인간이 점유한 땅과 건축물에서 끊임없이 기생하거나 공간경쟁을 벌인다. 길고양이 같이 인간의 핍박과 보살핌 속에서 야생의 법칙을 넘나들며 경계에 선 동물들도 늘어가고 있다. 

온전한 ‘야생의 땅(wilderness)’을 만들기는 어려우나, ‘좀 더 야생적인(wilder)’ 곳을 만들 수는 있다. 생태중심주의 사상가 알도 레오폴드는 야생의 관점에서 너무 작은 땅이란 없다고 말했다. 건물에서, 마을에서, 도시에서도 자연의 원리가 더욱 융성하게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소외되고 격리된 현상이야말로 자연을 보호하고 야생을 복원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다. 결국 인간의 생태적 감수성과 생태적 윤리를 일깨울 수 있는 인간 마인드의 리와일딩이 필요하다. 

건축은 자연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인류가 건축물 밖의 자연과 공존하기 위해서 건축은 자연에 개방적이고 그 자체로 생태계가 되어야 한다. 건축은 인간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명의 존재 모두를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건축이 비인간생물 누구와 어떻게 공존할 것인지, 야생과 시공간적인 타협을 어떻게 이뤄낼 것인지, 배타적인 사람의 태도를 어떻게 바꾸어 놓을 것인지, 생태계 공진화(coevolution)에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과 도전정신이 필요하다. 인류와 자연을 구원할 대단한 해법은 아닐지라도 다양한 뭇 생명을 초대하여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꿈과 이상을 펼칠 수 있도록 젊은 건축가와 조경가의 야심 찬 역할을 기대한다.


정림학생건축상 웹사이트: http://junglimaward.com
포스터
_ 최진우 박사  ·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
다른기사 보기
kinuechoi@gmail.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