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승월교 무지개 분수 -광섬유가 연출하는 낮보다 찬란한 야경
·위치 : 전라북도 남원시 쌍교동, 노원동·발주 : 남원시청(공사 감독 - 관광국악과 차남희 주사)·설계 : 동인조경 마당 기술사사무소(황용득 소장)·시공 : 동서코퍼레이션·전문시공- 설비 : 레인보우스케이프 ..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시?공을 뛰어넘는 정원예술의 진수 한자리에-김인수 사진전 “유럽의 정원..
지난 5월 18일부터 열흘동안 서울 플러스갤러리에서는 김인수씨(환경조형연구소 그륀바우 소장)가 유럽정원을 바라보면서 느낀 아름다움과 그안에서 짙게 배어나오는 옛 조경가들의 헌신적인 노력, 장인정신에..
/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국악 무료공연 보러 오세요” -국악인 김현숙 씨의 호수공원 야외무대
주말이면 어김없이 한가로움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넘쳐나는 곳. 바로 일산 호수공원이다. 이곳에 국악인 김현숙(38·총신예술학교 강사)씨가 자리를 잡은 것은 작년 초. 도심 속 자연에서 즐기는 자전거타기의 ..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작가가 되는 길, 그 멀고도 험한 여정
-경주 힐튼호텔과의 만남 내가 작품을 대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바로‘어떻게 작가의 혼을 불어넣으며 공간미학적인 조화를 이루어 내느냐’하는 것이다. 조경이라는 공간예술은 어떤 기능의 공간들을 ..
이교원/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보행자를 위한 걷고싶은 녹화거리 조성 기본계획 현상설계
서울특별시 공원녹지관리사업소는 지난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보행자를 위한 걷고 싶은 거리 녹화거리 조성 기본계획’에 대한 현상공모를 실시, (주)동명기술공단의 계획안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포토샵 활용하기(1)
컴퓨터를 이용한 수준 높은 디자인의 구현을 위해서는 한가지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는 완성도 높은 이미지를 만들기 어렵다. 그러나 포토샵을 잘 사용하면 꼭 여러 가지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서영훈/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전통마을 보전의 현황과 과제 -독일의 전통마을 보전
이런저런 사례들을 떠올리다가 독일에서 만난 산소호흡기 같은 장치와 연계될 듯한 것들을 몇가지 간추려 보았다. 옛 모습을 그대로 보전하는 일, 마을의 생활공간 기능을 회복하는 일, 현대화와의 조화, 그리..
정기호/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임업협동조합법 입법예고(안)에 즈음하여
금번 입법예고된 임업협동조합법 개정안의 목적은 그동안 유명무실하게 운영되어 오던 임협을, 건실하고 경쟁력 있는 조직체로 전환하기 위하여 산림의 70%를 차지하는 사유림을 경영·관리하는 주체로 육성하..
금창현/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일상속의 모뉴먼트, 5.18기념공원 -기념비적 근린공원, 정적인 분위기 물씬
상무신도심에 조성된 5.18 기념공원은 앞의 공원들이 추모와 재현에 비중을 둔 것과 달리 근린공원의 성격과 기념공원으로서의 기능을 고루 지니고 있다. 매년 5월 18일이 되어야 기억되는 장소로 조성하기 보..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18세기 실경화와 조경(12)
-명정전의 동향 창경궁의 건물배치에 있어서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정전(正殿)이 동향을 하고 있다는 점과 정전 및 내전 주요 전각의 대부분이 서로 정확하게 일직선상에 놓이거나 직교하지 않고 조금씩 틀어..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프리캇터-제초작업의 위험방지
프리캇터는 회전판에 유동식 캇터 3개를 부착하여 강한 원심력으로 풀을 깎다가 칼날의 원심력보다 강한 이물질에 부딪치면 날이 깨져 날아가거나 돌이 깨져 날아가지 않고 날이 뒤로 접혔다 다시 나오게 되어..
서일산업/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박달재의 고향, 나의 고향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흥신리
아침이면 졸린 눈 비비고, 피곤한 몸 일으켜 세워 학교에 가고, 학교가 파하기 무섭게 집으로 돌아와 부모님의 농사일을 거들고, 그러다 초가집 너머로 뉘엿뉘엿 지는 해를 바라보는 게 하루 일과의 고작이었..
김인문/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전통마을 보전의 현황과 과제 -지속가능한 전통마을의 보전
-지속가능한 전통마을의 보전을 위한 조건전통마을의 고유한 체계는 약 5백여 년 동안 마을환경, 생활, 생산, 역사 문화 등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유지되어 왔다. 그러므로 전통마을은 고착된 대상이기보다..
강동진/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도시속의 테마경관 탐색(3) -신 문화경관 연출과 테마관광
지금까지 살펴본 신 문화경관 연출과 테마관광의 도시 탐색을 정리해보자. 첫째, 지역사회의 경제적 이득과 효과를 고양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경관에 따른 독특한 이미지형성과 지역정체성 ..
장성태/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전통마을 보전의 현황과 과제-전통마을경관의 현황과 보전관리 실태
전통마을과 같은 역사공간은 자연환경의 기반위에 선조들의 경험이 농축된 문화적 산물로서 우리는 물론 후손과 인류에게 의미있는 문화유산으로 존재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마을의 보존·관리방법은 그것이 ..
신상섭/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