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내셔조각센터
Nasher Sculpture Center건축가 렌조 피아노(Renzo Piano)와 PWP는 소규모 미술관이자 조각정원을 공동작업을 통해 완성하고자 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개인 소장 현대 조각 작품 컬렉션 가..
PWP/월간 환경과조경/20125289
2011 The Awards Ceremony for Landscape Architect..
2011 대한민국 조경비평대상 시상식조경비평문화의 활성화와 미래 조경비평문화를 적극적으로 선도해 나갈 신진조경비평가 발굴을 위해 <환경과조경>이 주최한 ‘2011 대한민국 조경비평대상’ ..
박상백/월간 환경과조경/20123287
(사)한국조경학회-순천시 업무협약 체결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성공 개최를 위해 상호협력체계 구축하기 ‘대한민국 생태수도’를 표방하고 있는 전라남도 순천시(시장 노관규)의 행보가 예사롭지 않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를 맞아..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0910258
제1회 조경의 날 기념 및 제2회 조경대상 시상식을 마치고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세천/월간 환경과조경/200311187
새 시대, 새로운 놀이시설
이번에 개발한 어린이 모험놀이시설은 91년 대도시 단지에 시범 적용 및 이용평가 후 확대 적용할 계획이며 유아전용놀이시설, 자유놀이시설, 유년 및 청 장년을 위한 코스화 놀이시설은 91년 개발 후 92년 적..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1139
이천 컨트리 클럽 조경계획, 설계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삼림컨설턴드/월간 환경과조경/19901138
조경설계프로그램(8) - Photoshop 6.0 (1)
갸름한 얼굴에 뽀얀 피부...잘룩한 허리에 긴 다리... 현실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나의 모습이다. 허무맹랑한 상상을 하면서 미소지을 수 있는 이유는 사진에 칼 대신 무수히 많은 마우스를 댄 결과이기 때문..
정태영/월간 환경과조경/200111163
제 17기 환경과조경 통신원 간담회
전국 31개 대학 조경학과 통신원 참가, 왕성한 교류 등 앞으로의 활동다져 본지는 지난 4월 28일부터 29일까지 1박2일동안 경기도 이천소재 이천관광농원에서 제 17기 환경과조경 통신원 간담회..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16158
멀구슬나무, 구골나무, 목서, 은목서
멀구슬나무_가을철 주렁주렁 드리워진 구슬모양의 아름답고 매혹적인 황금색 열매로 인해 이름붙여진 멀구슬나무는 예부터 부락 근처에 식재되어 온 나무로 제주도 및 남해안 지방의 표고 300m 이내에서 자라..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0133
미관과 환경 고려…투수성, 보행감도 좋아 -삼성종합화학서 색채바닥포장..
로드머. 칼라세라믹 골재나 자연석 골재를 수지바인더와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포장재의 이름이다. 로드머는 이름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Road+Mer-화학결합구조) 대전시 유성구 삼성종합화학연구소에 있는..
김찬수/월간 환경과조경/1995181
좌담 ; 만나보고 싶은 사람 ; 한국정원학회 민경현 회장
유:정원학회는 한국의 정원 문화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다던데, 어떤 단체인지요?민:한국정원학회는 1980년 12월에 발족했습니다. 제가 문화재전문위원으로 전통조경에 관심을 갖고 학문적 연구를 하다보니 우..
유병아/월간 환경과조경/1990535
전주시 시민광장 - 조국순례 자연보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3104
Sustainable Systems Integration Model(SSIM)
지속가능한 계획과 디자인의 시스템적인 접근을 위한 시급한 요구The Urgent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Sustainable Planning and Design “지속가능성”은 토지계획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
김용기/월간 환경과조경/20105265
교내후미진곳, ‘캠퍼스 정원’ 으로 ; 서울대 오병남 교수, 제자들과 함께..
서울대 미학과에는 특이한 풍습이 있다. 석·박사 논문에 통과하거나 유학, 취직, 결혼 등 잊지못할 중요한 날을 맞이하는 학생들은 나무 한그루씩을 꼭 교내에 심어야한다 지난 ’96년 가을부터 지금까지 동참..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199911139
회화나무 사철나무
회화나무 : 중국원산으로 우리나라에 아주 오래전에 들어와 각처의 산야나 집 안팎의 뜰과 사원 서원 또는 마을주변 등에 널리 식재되어 왔으므로 자생종처럼 보인다. 일본에서도 불교의 도입과 함께 들어가,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347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