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시선] IFLA AR / URBIO2016과 도시생태계 평가

구본학 논설위원(상명대 환경조경학과 교수)
라펜트l구본학 교수l기사입력2016-11-16
IFLA AR / URBIO2016과 도시생태계 평가



글_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



“From Cities to Landscape: Design for Health and Biodiversity”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적 요구와 환경적 요구를 통합한 융복합적 접근이 중요하다. 현 단계에서 문제를 진단하고 처방하며, 학문 분야간 산업간 통합적 접근을 통해 사람과 자연의 조화를 이룬 설계가 중요하게 된다. 생태적으로 열악한 도시공간에서 자연생태계를 보전하고 인공생태계를 조성 및 복원하는 일은 도시의 생태적 양과 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다. 나아가 이러한 인공생태계가 정상적인 생태계 구조와 기능을 갖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평가하며(performance assessment), 의도된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일(adaptive management) 또한 중요한 일이다.

이런 시각에서 지난 10월 25-27일, 파나마 운하의 도시 파나마시티에서 진행된 URBIO(Urban Biodiversity and Design) / IFLA AR(International Feder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Americas Region) 공동 학술대회는 조경 및 생태복원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사람과 그 환경에게 모두 혜택을 줄 수 있는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도시생태계 보전 복원 설계를 주제로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정책을 나누는 고민의 장이었다.


한국측 참가자. 왼쪽부터 서울대 송영근교수, 단국대 김남춘교수, 그리고 필자

IFLA AR/URBIO에서는 keynote 주제발제와 더불어 각 분과별 연구성과가 발표되었는데, 필자는 'Ecosystem services', 'Evaluation and planning for the local biodiversity : learning from the cases of East Asia' 등의 세션에 관심을 두었다. 'Ecosystem services' 세션에서는 지난 8월 독일 Erfrut 대학에서 진행된 URBIO 워크숍에서 정리되었던 서울시 적용 URBIO Index를 소개하였다(The URBIO index- an evaluation tool for the sustainable design of green spaces – basics and update). 전 URBIO 대표로서 지표 제안했던 Norbert Müller와 Bonhak Koo, Katja Elsner, Maria Ignatieva, Charles Nilon, Namchoon Kim, Youngkeun Song 등이 참여하였다.

'Evaluation and planning for the local biodiversity : learning from the cases of East Asia' 세션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전문가들이 개설한 세션으로서 필자를 포함하여 Bonhak Koo, Namchoon Kim, Youngkeun Song, Yosihiro Natuhara, Shozo Shibata 등이 각각 발표하였다.

그 외의 주요 세션으로는 ‘Resilience & sustainability', 'Birds as urban thermostats : pouring avian knowledge into the practice jar', 'Urban gardens as hotspots for insect pollinators in the UK : the role of socio-economics and householder management', 'Ecology, design and the just city', 'urban gardens as social-ecological systems-the state of the art and future challenges', 'Design studios as models to design from site to landscape scale', 'Parks, gardens, lawn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Landscapes' 등 생물다양성과 도시생태계, 생태계서비스, 평가 등의 주제로 다양한 세션이 개설되었다.


IFLA AR - URBIO 학술대회장 (파나마시티)

필자는 인공생태계 성능평가 연구의 하나로서 도시생태계에 복원 또는 조성된 인공습지의 생태적 성능평가 방법론과 연구사례를 보고하였다. 필자의 발표 주제는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Artificial Wetlands in Urban Area’로서 도시 내 인공습지 성능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몇 습지에 적용 평가한 사례이다.

습지는 생물다양성, 수질정화, 홍수조절, 기후변화 대응, 심미적 기능, 경제적 생산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인공습지는 그중 어느 한 두 기능 또는 보편적 기능을 목표로 설정하게 된다. 그 중에서 이번 연구는 생물다양성 증진과 기후변화 대응을 목표로 조성된 인공습지로서, 하천형 및 소택형 습지를 평가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자연생태계의 중요도는 고유의 기능과 사람에게 주는 혜택으로서의 가치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생태계 기능은 사람에 대한 이익이나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생태계 형성과정(natural process or ecological process) 그 자체를 의미한다. 한편으로 생태계는 생태적, 사회적 또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경제적 가치는 금전적 가치로 환산되게 되며, 사람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생태계 가치를 부여하여 그 가치 인식에 따라 생태계를 온전하게 유지하거나 다른 형태의 토지이용으로 전환하게 된다.

반면에 복원 조성 또는 대체생태계 등 인공생태계에서는 생태성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며, 이러한 성능평가는 극상 상태를 향해 발달해가는 인공생태계를 평가하는 시금석이 된다. 성능평가를 위해서는 평가하고자 하는 인공생태계와 동일한 생태권역 내의 동일한 유형의 잘 보전된 생태계를 표준생태계로 설정하여 비교 평가하게 된다.

복원된 생태계의 생태적 기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자연생태계와 유사한 수준으로 기능이 상승된 시점부터는 기능 수준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렇게 인공생태계의 기능수준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를 성능곡선(performance curve)라 하며, 성능곡선을 통해 복원 또는 조성된 생태계가 어떻게 발달해 가는지 그리고 언제 목표에 달성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충분히 발달한 인공생태계 기능은 자연생태계에 비해 낮은 기능 수준을 나타낸다. 

성능곡선 (Kentula et al.(1992)를 수정). 표준습지로서의 자연습지 기능과 인공습지 기능

성능평가는 모니터링을 통해 이루어지며 성능평가지표는 요구성능(목표)과 평가 항목 및 지표 등으로 구성된다. 필자의 연구에서 요구성능은 생물다양성, 야생동물서식처, 물순환, 탄소저감 및 저장 등의 요구성능을 설정하였고, 각 요구성능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지표로서 야생동물 종 수, 야생동물 이동통로, 인근 생태계 거리, 면적, 수문학적 적합성, 식생군락, 수질, 수심, 경계부 형태, 토양유기질, 엽록소농도 등 항목을 5등급으로 각각 평가하였다.



인공습지 목표(기능)와 성능평가 구조. 성능평가지표는 요구성능과 평가지표로 구성

습지는, 나아가 생태계는 생명의 근원이며 종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특히 탄소의 핵심소비자이면서 저장소이기도 하다. 인공습지의 조성과 생태계의 다양한 기능을 담은 요구성능과 평가지표의 개발을 통해 도시생태계의 양적 증가와 질적 향상을 촉진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URBIO지표가 도시공원을 목표로 한다면, 본 성능지표는 습지 등 생태계 평가를 위한 URBIO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글·사진 _ 구본학 교수  ·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다른기사 보기
ecoculture@smu.ac.kr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